JEUS 서버에 Scheduler Service 설정

 JEUS 서버 Scheduler Service에 접근하는 경우나 Job-list를 이용하여 JEUS 서버에서 주기적인 작업을 수행할 서버에 Scheduler Service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Webadmin → Servers → 설정할 Server → Resource → Scheduler

 

Defult로 Scheduler 사용은 true로 되어있지만 최신 패치가 나오면 false로 변경될 예정이다.

Enabled에 체크가 빠져있다면 체크하여 Scheduler 서비스 사용 여부를 활성화 시켜준다.

 


Job-list 설정

실제 작업을 수행할 Job을 등록한다.

프로그램 코드에서 작업을 등록하는 것 외에 Jeus 설정 파일에 Job을 등록하면 JEUS 서버가 구동될 때 자동으로 스케줄링된다.

Job에 해당하는 클래스는 반드시 jeus.schedule.ScheduleListener를 구현해야 하며 해당 클래스와 관련 클래스를 JAR 파일로 묶어 다음의 경로에 위치시켜야 한다.

 

JOB ADD

세부 설정

Job 설정화면에서 Job의 이름과 Job을 수행할 클래스 이름, Job이 수행될 주기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운영 중인 서버에 Scheduler를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은 동적으로 반영되지 않으니. 설정만 저장해 두었다가 서버가 재기동될 때 반영!

서버를 재기동하면 추가한 Job이 수행되면서 서버 로그에 로깅된 결과를 조회할 수 있다!

 

 

 

'MiddleWare > JE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US] JEUS Log 경로 변경 방법  (0) 2023.05.09
[JEUS] AdminServer SHUTDOWN 현상  (0) 2023.05.03
[JEUS] MS Container Status  (0) 2023.03.30
[JEUS] Windows 환경에서 JEUS8.5 & WebtoB5 설치 (3)  (1) 2022.10.17
[JEUS] Webadmin 설정  (0) 2022.10.11

 

SHUTDOWN 시작되지 않은 상태 또는 정상 종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STARTING 서버를 시작하는 중으로 아직 서비스는 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STANDBY 시작 중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을 Distribute하던 중 실패한 것이 있어 RUNNING 상태로 이동하지 못하고 머무르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문제의 모듈을 수정하여 다시 시작를 하거나, 그 모듈을 무시하고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force 옵션을 주고 start 명령을 수행한다.
RUNNING 서버 시작이 완료되어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SHUTTING_DOWN 서버가 종료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SUSPENDING RUNNING 상태에서 모든 deploy된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중단하기 위해 Suspend를 수행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RESUMING SUSPENDED 상태에서 다시 모든 정지된(Stopped)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재기하기 위해 Resume을 수행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SUSPENDED 관리자가 의도적으로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정지하도록 Suspend를 수행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새롭게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고 싶은 경우에도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Distriibute만 가능하고 시작할 수는 상태이다.
FAILURE_SUSPECTED DAS가 판단하기로 MS와 연결되지 않아 해당 MS의 비정상 종료를 의심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FAILED DAS가 판단하기로 MS와 일정 시간동안 계속 연결되지 않아 해당 MS의 비정상 종료를 확신한 상태를 나타낸다.

 

Swap Memory?

Linux 계열 설치 시 파티션 설정 부분에서 Swap 파티션 용량을 자동으로 지정한다.

Swap은 컴퓨터에 설치된 RAM의 가용량을 넘을 경우 스왑 파티션 공간을 메모리처럼 활용한다.

메모리 용량이 충분히 남아 있음에도 Swap Memory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관리자가 직접 Swap Memory를 초기화할 수 있다.


Swap Memory 확인

  1. top : 리소스 모니터링
  2. free -h : 메모리 사용량만 간략하게 확인
free -h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5.5G        3.1G        2.3G         11M        120M        2.2G
Swap:          2.0G        776K        2.0G

현재 사용 가능한 메모리(Mem)는 2.3G지만 Swap Memory가 776K 쓰고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Swap Memory 초기화

swapoff -a && swapon -a
  • swapoff -a : 메모리 사용을 중지 시키는 명령어
  • swapon -a : 메모리 사용을 시작하는 명령어
swapoff -a && swapon -a
free -h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5.5G        3.1G        2.3G         11M         91M        2.2G
Swap:          2.0G          0B        2.0G

 

 

1. 새로운 계정 생성 필요

→ 1개의 계정에 2개의 WebtoB 기동 불가

→ 새로운 계정 생성하여 환경 변수 및 WEBTOBDIR 설정 필요

 

2. DOMAIN 절 변경

→ DOMAIN 절 다르게 설정

 

3. SHMKEY 값 확인

SHMKEY Default → 54000

→ 신규 WebtoB 설치 시 54000 으로 설정하면 공유 메모리 중복, 다르게 설정

ex) 60000

 

4. JSV PORT 확인

→ JEUS 연동 port 확인

→ WEB-WAS 간 해당 포트 방화벽 열어놔야 함

 

5. NODE Port 확인

Node Port가 겹치게 되면 BindException 발생

중복된 PORT 변경

이슈사항 

webtob URI 에러페이지 호출 시 404 error 또는 error.html 호출 왔다갔다 하는 문제

확인사항

WebtoB
1. application을 web/was 분리해서 사용하는 지 확인
2. vhost ServiceOrder 확인
3. URI 절에서 처리하는 TYPE 확인
4. 특정 확장자 처리 : UpperDirRestrict = Y / 이 설정을 Y로 잡아주면  URI에 ../ 이게 포함되어 있으면 403 error 

JEUS
특정 URL 패턴의 HTTP 요청 방지 : Webadmin -> Servers -> Engine -> Web Engine -> Basic -> Blocked Url Patterns
- Encoded Pattern :  HTTP 클라이언트가 보낸 URI에 대해 설정된 문자열을 포함하는지 체크
- Decoded Pattern : 웹 컨테이너가 URL Decode 할 때 Decoded Pattern이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


Default
- Encoded Pattern : %23, %2e, %2f, %5c, %00
- Decoded Pattern : # 

패턴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항상 소문자로 변환해서 처리한다.

1. SSO?

Single-Sign-On의 약자로 여러 개의 사이트에서 다른 사이트를 자동적으로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법이다.

 

서로 다른 도메인에서는 각각의 도메인에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게 되는데, 하나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여러 시스템을 하나의 통합 인증으로 사용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2. SameSite

Samesite 설정을 None으로 설정 할 경우 모든 도메인에서 쿠키를 전송하고 사용 가능하게 된다.

사이트 간 요청 위조 CSRF 보안 취약 가능성이 생긴다.

 

https://pushstonez.tistory.com/9

 

[JEUS] Cookie 설정

JSESSIONID? Jeus 컨테이너에서 세션을 유지하기 위해 발급 되는 키다. HTTP 프로토콜의 연결 상태를 저장하기 위해 쿠키를 클라이언트에게 발급해주고 이 값을 통해 세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Co

pushstonez.tistory.com

 

3. JEUS8 설정 방법

webadmin 접속 → Servers → 해당 서버 선택 → Engine → Session Config 

하단의 고급 선택사항의 Session Cookie 설정   Same site 변경

Chrome 80 version 부터 새로운 쿠키 정책 적용 Cookie의 Same Site 속성 기본 값이 "None" -> "Lax" 로 변경

 

 

 

 

 

이슈 : 한글 URL 요청 시 404 에러

 

원인: 한글 URL 의 경우, WebtoB환경파일(http.m) *NODE절에 CheckURL 을 설정해야 처리가 가능하다.

해당 옵션은 WebtoB4.1 SP3 Fix#0 이상 버전에서 지원한다. (wsadmin –v 명령어로 WebtoB 버전 확인)

 

해결 방법: http.m Node 절에 CheckURL 설정

*NODE
stech     WEBTOBDIR="/home/webtob", 
                ...
            CheckURL = Y, UTF-8과 EUC-KR 가능
            CheckURLTo = "euc-kr",
            CheckURLFrom = "utf-8"

이슈: /lib/ld-linux.so.2: bad ELF interpreter: No such file or directory 로그 발생

 

리눅스에서 JAVA 설치 시 오류

yum install ld-linux.so.2
yum install glibc
yum install glibc.i686

또는 OS 버전이 너무 낮을 경우 OS 버전 및 Bit 확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