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toB는 Apache와 동일한 형식으로 로그를 기록하고 있으며 포맷도 동일하게 사용한다.
WebtoB 로그 구분
- syslog
WebtoB Engine에서 남기는 로그로 WebtoB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여 로그로 남긴다.
특이한 이상이 없는 한 많은 로그를 남기지 않는다.
일별로 생성되며 기본위치는 $WEBTOBDIR/log/syslog 이다.
- errorlog
클라이언트가 웹으로 접속하여 호출 시 에러가 발생하는 모든 uri 정보를 남긴다.
일별로 생성되며 기본위치는 $WEBTOBDIR/log/errorlog 이다.
- accesslog
클라이언트가 웹으로 접속 시 호출하는 모든 요청정보를 남긴다.
요청이 많으면 파일크기가 상당히 커지므로 로그 관리에서 access log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일별로 생성되며 기본위치는 $WEBTOBDIR/log/accesslog이다.
WebtoB 로그 포맷
webtob는 기본 로그 포맷으로 3가지 alias를 제공하고 있다.
- Default
- COMMON
- COMBINED
보안 취약점 조치를 위해 WebtoB Access log의 포맷 변경이 필요할 경우 DEFAULT -> COMBINED로 변경하면 된다.
Default : [요청 IP] [요청처리를 완료한 시간] [HTTP Request의 Request line 전체] [HTTP Status Code] [헤더를 제외한 응답의 Byte] [요청 처리하는데 소요된 시간 ms]
USERLOGFORMAT 설정
WebtoB5 에서는 공통으로 사용될 로그 포맷을 설정할 수 있도록 *USERLOGFORMAT 절을 제공하고 있다.
기존 VHOST가 많을 경우에 동일한 포맷을 설정하고자 할 때 해당 *USERLOGFORMAT 절에 사용자가 로그 포맷을 설정하고 *LOGGING 절에서 해당 설정 포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LOGGING
log1 Format = "format1", FileName = "C:/TmaxSoft/WebtoB4.1.9.1/log/access.log",
Option = "sync"
...
*USERLOGFORMAT
format1 Format = "%h %l %u %t \"%r\" %s %b"
'MiddleWare > WebtoB'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toB] Access / Deny 설정 | 특정 IP 허용, 차단 방법 (0) | 2024.07.09 |
---|---|
[WebtoB] ReadTimeOut 과 SvrChkTime (0) | 2024.03.05 |
[WebtoB] No free slots available for the new JSV connection (0) | 2024.02.01 |
[WebtoB] WebServer에서 Caching 처리 기능 (1) | 2023.12.03 |
[WebtoB] License별 특징 및 Trial License 사용 시 주의할 점 (0) | 2023.12.03 |